
대위법과 푸가는 바로크 음악을 정의하는 핵심 작곡 기술입니다. 이 글에서는 대위법의 기본 개념부터 푸가 형식의 구조, 실제 작곡 기법까지 단계별로 정리해드립니다. 1. 대위법이란 무엇인가? 대위법(counterpoint)은 두 개 이상의 선율이 독립적으로 움직이면서 동시에 조화를 이루는 작곡 기술입니다. 단순히 화음을 쌓는 방식이 아닌, 각 성부가 독립적인 멜로디를 유지하며 전체적으로 유기적인 화성을 형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중세 후기부터 르네상스, 바로크 시대에 이르기까지 대위법은 서양 음악 이론의 중심이었으며, 특히 바로크 시대에는 체계적인 학문으로 발전했습니다. 요한 세바스찬 바흐는 이 대위법의 정점을 보여준 작곡가로, 그의 작품은 지금도 대위법 학습의 교과서로 여겨집니다. 2. 대위법의 기본 원리..

전조(Modulation)는 음악의 조성을 바꾸는 기법으로, 곡의 분위기 전환과 구조적 확장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 글에서는 전조의 개념과 실제 작곡에서 어떻게 활용되는지, 실용적 측면에서 정리합니다. 1. 전조란 무엇인가? 전조는 한 조성에서 다른 조성으로 곡의 중심을 옮기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C장조에서 G장조로 이동한다면, 중심음이 '도'에서 '솔'로 바뀌는 것입니다. 이 과정은 단순한 변화가 아닌, 청자에게 감정의 전환을 유도하고 곡의 전개에 방향성을 제공합니다.전조는 고전시대부터 낭만주의, 재즈, 대중음악까지 모든 음악 장르에서 활용됩니다. 반복되는 멜로디 속에서 변화가 필요할 때, 전조는 그 해결책이 되어줍니다. 특히 현대 대중음악에서는 후렴 직전에 전조를 삽입함으로써, 청자에게 감정적..

청음은 '귀로 듣고 음악을 인식하는 능력'입니다. 절대음감이 없어도, 훈련을 통해 리듬, 화성, 코드 진행을 정확히 듣고 분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단계별 청음 훈련법을 리듬-화성-코드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1. 청음이란 무엇인가? 청음(Ear Training)은 음악을 귀로 듣고 분석하는 훈련을 말합니다. 이는 단순한 '듣기'가 아닌, 구조를 인식하고, 음정을 구별하며, 리듬을 내면화하는 능력을 포함합니다. 음대 입시, 작곡, 연주, 프로듀싱에서 반드시 필요한 기술로 간주됩니다.청음 능력이 뛰어난 사람은 음악을 듣는 즉시, 그 음이 어떤 음계인지, 화성이 어떻게 구성됐는지, 리듬이 어떻게 짜여 있는지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이론보다 실전 감각을 키우는 데 중요한 기초입니다. 2..

베토벤의 교향곡 5번, 쇼팽의 전주곡, BTS의 후렴구. 이 모두는 단 몇 음의 ‘모티브’에서 출발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작곡의 핵심 구조인 ‘모티브’와 ‘테마’의 개념과 발전 방법을 정리합니다. 1. 모티브란 무엇인가? 모티브(Motive)는 음악에서 가장 작은 단위의 아이디어, 즉 짧은 리듬이나 음형을 말합니다. 보통 1~2마디 정도의 짧은 구절로, 독립적인 멜로디라기보다는 ‘소재’에 가깝습니다. 예를 들어, 베토벤 교향곡 5번의 “빠빠빠빵~” 4음도 하나의 모티브입니다.모티브는 그 자체로 곡 전체를 결정짓는 ‘씨앗’이 될 수 있습니다. 작곡가는 이 작은 단위를 반복, 변형, 확장함으로써 곡 전체를 구성합니다. 바흐의 푸가나 베토벤의 교향곡은 대부분 짧은 모티브에서 출발하며, 그 모티브의 변주만으로도..

기본적인 3화음만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음악의 감정을 깊고 넓게 만드는 고급 화성 구성법과 텐션 사용 원리를 단계별로 정리합니다. 1. 화성이란 무엇인가? 화성(Harmony)은 두 개 이상의 음이 동시에 울려 조화를 이루는 것을 말하며, 음악의 감정과 구조를 지탱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화성은 멜로디가 땅 위에 서 있을 수 있도록 하는 배경이며, 감정을 정의하는 색채라고 할 수 있습니다.전통적인 기능 화성 이론에서는 코드에 따라 안정(T), 중간(S), 긴장(D)의 역할이 나뉘며, 이 구조 위에서 곡의 감정 곡선이 만들어집니다. 화성은 단지 음의 조합이 아니라, 청자의 귀를 어디로 끌고 갈지를 계획하는 감정 설계 장치입니다.기본적인 화성은 ‘3화음(Triad)’으로 시작됩니다. 예를 들어,..

현대 음악의 색다른 감정과 고유한 분위기는 단순한 장조·단조를 넘어 '모드(선법)'에서 비롯됩니다. 이 글에서는 도리안부터 프리지안까지 대표적인 모드를 정리하고, 작곡·분석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설명합니다. 1. 모드란 무엇인가? 모드(Mode) 또는 선법(旋法)은 특정 음계의 시작점을 기준으로 만들어진 고유한 음계 체계입니다. 쉽게 말해, 같은 음들을 쓰지만 시작 음이 달라질 때 생기는 스케일의 성격이라 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C 장조(C-D-E-F-G-A-B) 음계를 그대로 두고, D부터 시작하면 D 도리안(D-E-F-G-A-B-C), E부터 시작하면 E 프리지안(E-F-G-A-B-C-D)이 됩니다. 모드의 개념은 중세 교회 음악에서 시작되어 현대 재즈, 록, 팝, 영화음악 등 다양한 장르로 확장..
- Total
- Today
- Yesterday
- 디셉티브 종지
- 음악 빠르기 말
- 화성 분석
- 박자표 보는법
- 화성학
- V7/vi
- 지나가는 화음
- auxiliary chord
- 완전 종지
- 부속화음
- 세컨더리 도미넌트
- 박자 의미
- 음악이론
- Allegro 의미
- 장조 단조 차이
- 음악 문장 종결
- 코드 진행 정리
- 문장형 구조
- cadence 해석
- 작곡 기법
- passing chord
- 플라갈 종지
- 메트로놈 설정법
- 6/8 리듬
- 작곡이론
- 카덴차 종류
- 재즈 코드
- 단순박자 복합박자
- 4/4 박자
- Andante BPM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